안드로이드에서 화면 공유를 개발하면서 생겼던 고민들을 정리할려고 한다.
화면 터치에 대한 고민
처음에 화면 터치를 할려면 루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Accessibility Service 클래스를 이용하면 화면 터치를 지원해준다고 한다. 또한 일부 휴대폰에서 ADB 명령을 이용해서 좌표 값을 보내주면 화면 터치를 지원해준다.
화면 터치 기능에 대한 것은 아래 포스팅에서 정리를 했다.
[안드로이드] 원격 터치 기능 정리
원격으로 터치하는 기능을 만들기 위해서 방법들을 찾아봤는데, 앱 내부에서만 가능한 터치이거나, 루팅을 통해서 터치하는 방법이 많았다. 앱 내부 터치, 루팅 권한을 뺀 나머지 기능을 정리할
dosomething9390.tistory.com
화면 공유에 대한 고민
화면 공유를 하기 위해서 WebRTC를 이용할려고 했다. 안드로이드에서 화면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FOREGROUND SERVICE에서 MediaProjection을 이용해야한다. 화면을 WebRTC의 Media Server에 보내야하기 때문에 아래의 공식 문서를 보고 배우면서 개발했다.
미디어 프로젝션 | Android media | Android Developers
이 페이지는 Cloud Translation API를 통해 번역되었습니다. 미디어 프로젝션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 Android 5 (API 수준 21)에 도입된 android.me
developer.android.com
'안드로이드 > 잡다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왜 string resource로 관리하나요? (0) | 2024.05.27 |
---|---|
[안드로이드] WorkManager와 Koin (0) | 2024.05.16 |
JetPack Compose에서 Compose 멀티 플렛폼으로 전환 (0) | 2024.04.29 |
[안드로이드] Rxjava + retrofit2 연결 도중 취소하기 (0) | 2023.12.26 |
[안드로이드] 원격 터치 기능 정리 (0) | 2023.11.06 |